이회

  • 도서목록
  • 브랜드별 도서
  • 이회
이 책 자세히보기 언문(표지-최종).jpg
큰 이미지보기
언문(1443년 12월 임금이 친히 언문 스물여덟 자를 만들다)
저자 : 홍현보
ISBN : 978-89-8107-612-2
발행일 : 2019-02-28
정가 : 30,000
쪽수 : 564

언문’이란 ‘훈민정음’을 폄하한 말도 아니고, 상말을 적는 글자도 아니다.
『세종실록』 102권, 세종 25년(1443) 12월 30일 기사에,
“이 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다.”라는 말이 나온다.
처음부터 한글의 원래 이름은 ‘언문’이었고,
3년 뒤 『훈민정음』 해례본이 나오면서 조선의 공식 문자가 되었지만,
사대부들의 반대에 부닥치고, 연산군의 언문 탄압 이후,
‘훈민정음’이란 이름은 사라지고 조선 시대 일반 백성들이 알고 있던 이름은 오로지 ‘언문’뿐이었다.
개화기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란 이름을 붙이기 전까지 450여 년 동안 줄곧 부르던 ‘언문’!

 

이 책은 한글의 옛 이름 ‘언문’과, 세종대왕의 일생을 작가론적 관점에서 연결하여, 우리 한글의 창제 원리가 어디서 왔으며, 어떻게 한글이 만들어졌는지를 심도 있게 규명하였다.
영국 언어학자 샘슨이 “한글은 문자의 최고로 발달된 형태인 자질문자(資質文字, featural writing)이다.”라고 했고, 네덜란드 학자 포스는 “한국인들은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알파벳을 발명하였다.(They invented the world's best alphabet!)”라고 주장했다. 그 문자의 창제자가 누구이며, 창제 원리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다양한 예증을 통해 들여다 보고, 우리의 의구심을 속시원히 풀어주었다.

 

국어학자뿐만 아니라 우리말과 한글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나 반드시 읽어보길 적극 추천한다.
세종과 한글, 이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아닐까?

제1장 세종의 삶과 학문
 1. 책벌레 이도
 2. 복잡다단했던 어린 시절
 3. 경연, 앎의 깊이와 넓이
 4. 듬직한 집현전
 5. 세종시대의 인쇄문화
 6. 조선의 성리학
 7. 또 다른 학문들-십학十學
 8. 세종 시대의 학문과 외국어
 9. 중국 외교문서 작성하기-한이학
10. 세종의 또 다른 고충

 

제2장 조선의 문자와 우리말
 1. 앎에 대한 역사
 2. 실록 이야기
 3. 2000년 전의 우리말
 4. 일본말투성이
 5. 한자 빌려 쓰기
 6. 조선의 문자생활
 7. 또 다른 글쓰기


제3장 '언문'  창제와 『훈민정음』 보급
 1. 세종의 운서 읽기
 2. 언문과 훈민정음의 첫 기록
 3. 최만리의 언문 반대 상소-이두예찬론
 4. 훈민訓民의 뜻
 5. 정음正音의 뜻
 6. 자질문자와 가운뎃소리 원리
 7. 세종의 훈민정음 장려책
 8. 세종에게 불교란 무엇인가

 

제4장 왜곡된 ‘언문’ 뜻풀이
 1. 들어가며
 2. ‘언문’에 대한 앞선 연구
 3. 우리말 사전의 풀이
 4. 『조선왕조실록』과 『훈민정음』 속의 ‘언문’
 5. 훈민정음 기록의 오류
 6. 세종 사후 문헌의 기록
 7. 19세기 문헌의 ‘언문’ 뜻풀이
 8. 이른바 ‘상말 문자’의 발단
 9. 중국과 일본의 사전들
10. ‘진서’와의 대립 개념에 대하여
11. 결론과 정의

홍현보

충북 단양 출생.


대학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국어교육학을 전공한 뒤
한글학회에서 『우리말 큰사전』 보유작업에 참여하였고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조선왕조실록』 국역 사업과
한글문헌(언해서)의 번역 사업을 일삼으며 한말글 운동을 벌여나가고 있다.
『말이 오르면 나라도 오르고』(공저)(1993)와 『나랏말ᄊᆞ미 듕귁에 달아』(1997)를 펴내었고,
「신문 가로쓰기의 실태와 독자 인식 연구」(1993), 「세종 영릉신도비명의 체재에 관한 연구」(2006),
「개화기 나랏글 제정과 한글의 발전 과정 연구」(2007), 「우리 사전에 왜곡된 언문 뜻풀이에 관하여」(2012),
「불경 언해본의 역주 현황과 의미」(2016), 「삼강행실열녀도의 출처 연구」(2017),
「조선왕조실록 등 문헌에 나타난 훈민정음 창제 기록」(2018) 등 논문 다수와,
「2000년 전의 우리말」(2007.7.27.) 등 짧은 글들을 여러 편 썼으며,
「중앙일보」(1995), 「부산국제신문」(1996)의 전면 한글 가로쓰기 기획위원,
한국방송공사 「우리말 겨루기」(2009.5.18.)에 출연하여 우승하고,
서울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2009) 이름과 훈민정음 서문 글자를 제작하고,
인터넷 카페 「세종한글 길라잡이」(http://cafe.naver.com/azazaq)를 2008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