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학술도서

  • 우수도서
  • 우수학술도서
이 책 자세히보기 앞표지.jpg
큰 이미지보기
두보, 윤선도 그리고 바쇼 : 따로 또 함께
저자 : 辛恩卿 지음
ISBN : 979-11-6587-198-7 93810
발행일 : 2021-08-26
정가 : 36,000
쪽수 : 664

 

두보, 윤선도 그리고 바쇼


: 따로 또 함께

 

 

 

 

동아시아 삼국의 문학을 비교의 관점에서 살피려는 필자의 노력의 최초 출발점은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시문학인 시조와 하이쿠에 대한 관심이었고 이 관심은 자연스레 각각의 분야를 대표하는 윤선도와 바쇼의 비교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두 시인의 문학세계에 관심을 기울임과 동시에 수면에 떠오른 것이 바로 두 시인에게 거의 같은 비중으로 영향을 끼친 두보의 존재였다.
2000년부터 처음 얼마 동안은 이 주제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논문을 발표했었는데 다른 연구과제에 집중하는 바람에 이 작업은 차일피일 미루어지게 되었고 어느새 10년이라는 시간이 훌쩍 지나고 말았다. 그러다가 몇 년 전 해묵은 과제를 하는 심정으로 그간의 논문을 꺼내어 읽어 보면서 세 시인을 한자리에 놓고 견주어 보니까 오히려 각 시인들의 문학세계의 면모가 더욱 선명하게 부각되어 온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것은 분명 필자에게 새로운 경험이었고 다시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미발표 논문까지 합하여 최근 몇 년간 쓴 논문들은 三者 비교를 거쳐 다시 되돌아온 개별 시인론의 성격을 띤다고 해도 될 듯하다. -머리말 中-

 

 

 

❚차례


일러두기
서문

 

총론
1. 문학연구방법론으로서의 ‘비교문학’
2. 시문 원전자료 및 譯註書

 

제1부  셋 함께 보기

 

尹善道와 芭蕉의 자연인식에 끼친 杜甫의 영향
1. 비교문학에서의 영향의 문제
2. 두보의 自然觀
3. 윤선도와 바쇼에 끼친 두보의 영향
4. 윤선도와 바쇼

 

杜甫․尹善道․芭蕉에 있어서의 ‘隱’의 처세
1. 동아시아의 處世의 한 유형으로서의 ‘隱’
2. 두보의 처세관
3. 윤선도와 바쇼에게 있어서의 두보의 영향
4. 윤선도와 바쇼

 

제2부  둘 함께 보기

 

▸杜甫와 尹善道

두보와의 비교로 본 윤선도의 ‘理想鄕’
1. 윤선도의 삶과 이상향
2. 이상향의 모델로서의 杜甫의 ‘浣花溪’
3. ‘蓬萊山型’ 이상향으로서의 ‘芙蓉洞’
4. 武陵桃源型 이상향과 蓬萊山型 이상향의 조성 배경

 

두보와 윤선도에 있어서의 ‘집’의 의미작용
1. 들어가는 말
2. ‘집’의 의미론
3. ‘중심’의 ‘확대’와 ‘이동’
4. 나가는 말

 

▸杜甫와 芭蕉
바쇼의 두보시 수용의 몇 국면
1. 두보와 바쇼
2. 하이쿠에서의 두보시 수용
3. 산문에서의 두보시 수용

 

두보와 바쇼의 문학에 있어서의 ‘공간이동’ 모티프
1. ‘길’ 위의 시인들
2. 通路로서의 ‘길’과 ‘공간이동’
3. ‘漂泊’과 ‘行脚’의 구체적 양상
4. 공간이동의 양상과 길담론의 美意識
5. 두 시인에 있어 ‘길’이 의미하는 것

 

▸尹善道와 芭蕉
‘슬카지’와 ‘와비’(佗び) -윤선도와 바쇼의 美的 世界-
1. 문제제기
2. 부정적 현실의 긍정적 전환
3. ‘슬카지’와 ‘와비’
4. ‘陽’과 ‘陰’의 미학

 

윤선도와 바쇼에 있어 두보의 동일 시구 수용 양상 비교
1. 비교문학에 있어 ‘영향’의 비교
2. <茅屋爲秋風所破歌>의 “破屋”의 예
3. “人生七十古來稀”의 예
4. <春望>의 예
5. “伐木丁丁”의 예
6. “令人發省深”의 예
7. 두보 시구 수용에 있어 윤선도와 바쇼

 

윤선도와 바쇼에 있어 ‘못남’에 대한 인식의 비교
1. 문학에서의 ‘못남’
2. 윤선도에 있어 두보의 ‘拙’의 수용과 ‘못남’의 표현
3. 바쇼에 있어 두보의 ‘拙’의 수용과 ‘못남’의 표현
4. 두 시인에게 있어 ‘못남’에 대한 인식의 차이

 

제3부  셋 따로 보기

 

▸杜甫論
두보와 ‘拙’의 미학
1. 문학에 있어서의 ‘拙’
2. 두보에 있어서의 ‘拙’의 의미범주
3. ‘拙’의 미학과 그 원천

 

두보의 시에 나타난 ‘長安’
1. 두보의 삶과 문학에서의 ‘장소’의 문제
2. 기능적 텍스트 구성법과 토포필리아, 두보 삶의 세 권역
3. ‘장안’의 언어화
4. ‘장안’에 대한 두보의 인식 변화: 場所愛의 형성과 정착
5. 나가는 말

 

▸尹善道論
자아탐구의 旅程으로서의 ‘山中新曲’과 ‘漁父四時詞’
1. 윤선도 문학과 자연공간
2. 공간, 내면세계, 문학텍스트
3. ‘자기응시’의 언어적 등가체로서의 ‘山中新曲’
4. ‘자아확산’의 언어적 등가체로서의 ‘漁父四時詞’
5. ‘山中新曲’과 ‘漁父四時詞’의 상호관련성

 

漢詩에서의 상호텍스트성과 윤선도의 次韻詩
1. 문제제기
2. 한시와 상호텍스트성
3. 윤선도의 차운시와 상호텍스트성
4. 나가는 말

 

윤선도의 集句詩 연구
1. 집구시에 대한 개괄적 이해
2. 집구시 이해를 위한 이론틀: 로트만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3. 윤선도의 집구시
4. 나가는 말

 

윤선도의 詩文에 있어 儒․道 역학관계 형성의 원천
1. 윤선도 삶과 문학의 사상적 배경
2. 윤선도 시문에서의 儒敎 우위의 역학관계 형성의 세 원천
3. 나가는 말

 

▸芭蕉論
바쇼 기행문 『오쿠의 좁은 길』(
奧の細道』)
1. 들어가는 말
2. 『오쿠의 좁은 길』에 대한 개괄적 이해
3. 散韻 혼합담론으로서의 『오쿠의 좁은 길』
4. 『오쿠의 좁은 길』에 삽입된 운문의 역할
5. 나가는 말

 

聯句와 하이카이(俳諧)의 구조적 특성 비교
-<城南聯句>와 ‘쇼몬 하이카이’(蕉門俳諧)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연구와 하이카이의 공분모
3. 연구와 하이카이의 차이
4. 나가는 말

 

蕉風 하이카이의 세계-쓰케아이(付合)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쇼몬(蕉門) 이전의 쓰케아이(付合) 양상
3. ‘쇼몬’의 쓰케아이 양상
4. 쇼몬의 ‘物像付’와 리얼리티의 문제

 

쇼몬(蕉門)의 도리아와세론(取合論)의 전개
1. 들어가는 말
2. 바쇼에 있어서의 ‘도리아와세’의 개념
3. 교리쿠(許六)의 도리아와세론
4. 교라이(去來)의 도리아와세론
5. 나가는 말: 쇼몬에서의 도리아와세

 

바쇼 하이쿠에서의 ‘二物配合’과 ‘比喩法’의 관련 양상
1. 도리아와세(取合せ), 二物配合, 비유법
2. 二物配合에 대한 예비적 검토
3. 바쇼 하이쿠에서의 二物配合의 유형과 그 비유적 성격
4. 비유론의 관점에서 본 바쇼의 하이쿠
5. 남은 문제

 

찾아보기
초출일람

 ❚저자 약력

 

 

신은경(辛恩卿)
전북 전주 출생
서강대 국어국문학과, 한국학대학원(석사), 서강대대학원(박사)
동경대학 비교문학․비교문화연구실 visiting scholar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visiting scholar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 visiting scholar
현재 우석대학교 교수

 

논저
『辭說時調의 詩學的 硏究』(開文社, 1992)
『古典詩 다시 읽기』(보고사, 1997)
『風流: 東아시아 美學의 근원』(보고사, 1999)
『한국 고전시가 경계허물기』(보고사, 2010)
『동아시아의 글쓰기 전략』(보고사, 2015)
『서사적 글쓰기와 시가 운용』(보고사, 2015)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