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필재

  • 도서목록
  • 브랜드별 도서
  • 점필재
이 책 자세히보기 앞표지.jpg
큰 이미지보기
한국 고전번역사의 전개와 지평
저자 :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고전번역학센터 편
ISBN : 979-11-85736-45-7
발행일 : 2017-05-31
정가 : 35,000
쪽수 : 552

고전번역학총서-이론편 6

 

한국의 고전과 번역을 주제로 국어사나 번역학 등의 기존 연구분야와 다른 시각의 ‘통사(通史)’가 가능할까? 점필재연구소 고전번역학센터는 이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다. 그 과정에서 “번역으로서의 언해, 그리고 소통하는 문명들”이라는 제목으로 2014년에서 2015년까지 총 13강의 콜로키엄을 진행했으며, 2015년 말에는 논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보충하기 위한 좌담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 책은 이상의 노력이 낳은 결과물이다.
우리는 이 방대한 고전연구에 번역연구를 결합하여 ‘고전번역학’이라는 학문적 지평을 개척해왔다. ‘고전번역’의 ‘번역’에는 번역학의 범주에 포함되는 통역이나 시청각 매체 번역 등을 제외하고 대신 직해(直解), 언해(諺解), 구결(口訣), 주석(註釋) 등 소위 순정번역의 범위와는 조금 다른 양상의 행위들이 포함된다. 순정번역은 출발언어와 도착언어 사이의 등가성을 전제로 하지만, 직해, 언해, 주석 등의 행위는 등가성을 추구하지 않으며, 도착언어의 독립성이 보장되는 것들이 아니다.
직해, 구결, 언해, 주석 등은 대체로 경전이나 두보(杜甫)의 시 같은 고전이나 이에 준하는 권위와 수요를 가졌던 『전등신화』, 『대명률』, 『박통사』 및 의서(醫書) 등의 다양한 문헌들의 수용에 동원되었다. 경전과 두보 시는 국가의 운영을 담당한 과거 시험의 텍스트라는 점에서 지대한 권위가 부여되었으며,

책머리에

 

제1부 구결과 이두의 시대
제1장_불경 구결의 번역 양상
『화엄경』(주본)의 구결과 현대역 _ 김성주
음독구결의 번역학적 이해 _ 김지오

 

제2장_이두의 번역 양상
이두 번역의 양상과 그 특징 _ 박성종
조선 초기 대명률의 이두 번역에 대하여 _ 장경준


제2부 한글 창제와 언해
제1장_경전의 번역 양상
『월인석보』의 문체사적 위상 _ 김현주
경서의 번역과 경서언해의 활용 _ 이영경

 

제2장_문학서의 번역 양상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번역 양상 _ 박용찬
한국 고전서사의 전개와 고전번역학적 접근 _ 신상필
표기문자 전환과 16-17세기 고전소설 미학의 변이양상 _ 정출헌

 

제3장_실용서와 선서의 번역 양상
의서 언해, 의학의 대중화와 번역의 역할 _ 최미현
조선 후기 『경신록』의 수용과 번역 _ 이태희


제3부 국문번역과 새로운 고전의 모색
제1장_근대학문과 문학의 번역 양상
근대계몽기 잡지의 번역과 분과학문의 형성 _ 임상석
서양소설의 중역과 식민지 조선 _ 손성준

 

제2장_서구인의 고전번역
모리스 쿠랑과 한국의 고전세계 _ 이상현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윌리엄 레이놀즈의 성경번역 _ 류대영

김성주(金星周)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초빙교수.
김지오(金志悟)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초빙교수.
박성종(朴盛鐘) 가톨릭관동대학교 명예교수.
장경준(張景俊)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김현주(金賢柱) 공주교육대학교 조교수.
이영경(李玲景) 가톨릭관동대학교 조교수.
박용찬(朴龍燦) 대구대학교 국어교육과 부교수.
신상필(申相弼)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HK교수.
정출헌(鄭出憲)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최미현(崔美賢) 동의대학교 문학인문교양학부 조교수.
이태희(李泰熙)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HK연구교수.
임상석(林相錫)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HK교수.
손성준(孫成俊)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HK연구교수.
이상현(李祥賢)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교수.
류대영(柳大永) 한동대학교 교수.

하단영역